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MD : Journal of Movement Disorder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Mov Disord > Volume 1(1); 2008 > Article
Original Article
The Role of Telephone Counseling in Management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Mi Sun Kim, Sun Ju Chung, Sung Reul Kim, Tai Yeon Lee, Myoung Chong Lee
Journal of Movement Disorders 2008;1(1):33-37.
DOI: https://doi.org/10.14802/jmd.0800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08
Address for correspondence: Sun Ju Chung, MD, PhD.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388-1 Pungnap-dong, Songpa-gu, Seoul, 138-736, Korea   Tel: +82-2-3010-3988, Fax: +82-2-474-4691, E-mail: sjchung@amc.seoul.kr
• Received: October 19, 2007   • Accepted: April 3, 2008

Copyright © 2008 The Korean Movement Disorder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18,946 Views
  • 72 Download
  • Background:
    Various nonpharmacologic managements are important fundamental elements in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P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elephone counseling in managing PD patients.
  • Methods:
    From November 2006 to January 2007, we studied 243 PD patients at outpatient clinic of Asan Medical Center. Detailed telephone counseling was provided using a list structured questionnaires.
  • Results:
    There were 73 men and 170 women with an age range of 17 to 85 years (mean age, 64.9 years). Mean age at onset was 59.5 years (range, 14–82 years) and mean disease duration was 5.6 years (range, 0.3–25 years). The contents of telephone counseling included adverse effects of anti-Parkinsonian medications (24.4%), aggravation of motor symptoms (18.7%), problems due to comorbidities (17.8%), how to take medicine (13.6%),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et, bowel, sleeping and safety) (12.6%),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medicines (3.9%) and knowledge about PD (3.0%). Persons who responded to use the telephone counseling included patients (37.9%), offspring (36.2%), spouses (17.7%) and other relatives (7.4%). Persons who received the telephone counseling were determined by level of education, sex, cohabitation and Hoehn-Yahr stage. Contents of telephone counseling varied significantly with Hoehn-Yahr stage and persons who used the telephone counseling.
  •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support system with telephone counseling may provide beneficial therapeutic intervention in PD patients, especially for those with advanced PD. The most cost-effective method for telephone support needs to be studied. Journal of Movement Disorders 1(1):33-37, 2008
파킨슨병은 진전, 경직, 서동증 등의 운동성 증상과 불안, 우울, 치매, 정신병적 증상, 수면장애 등과 같은 비운동성 증상을 동반하는 만성 퇴행성 뇌 질환이다.1,2 파킨슨병은 질환이 진행하면서 증상이 악화되나, 현존하는 치료법은 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완치시키지 못하며, 단지 도파민성 약물로 파킨슨병의 증상을 조절하여 환자에게 오랫동안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3-6
파킨슨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장기간의 치료에서 전화상담은 필요한 정보를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며, 환자와 의료진 사이의 중요한 의사소통의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7,8 또한, 전화를 통한 상담이나 교육은 가정방문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치료지식 이행에 도움을 주며, 가정방문을 대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9
암환자 전화상담 분석, 응급의료 전화상담 분석, 외래 및 퇴원 환아 부모의 전화상담 분석 등 다른 질환에서의 전화상담이나 전화방문 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전화는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 불가결한 의사 전달 수단으로서 의료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8,10,11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에서 전화상담 프로그램은 환자 스스로 일상생활에서 당뇨병의 합리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전화상담의 효과를 보여 준 연구가 있으며,12 뇌졸중 환자에게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예정에 없던 응급실 방문이 사라졌으며,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던 대조군에 비해 재입원이 20%나 감소했다고 보고되었다.13
이와 같이 전화상담은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치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 전화상담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상당히 미흡하며, 아직까지 파킨슨병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전화상담의 역할을 분석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파킨슨병 환자 및 보호자의 자발적인 전화상담 내용을 분석하여, 파킨슨병 환자 및 가족들이 약물투여, 식사, 운동 등을 스스로 관리하면서 주로 어떤 문제로 의료진에게 상담을 의뢰하는지 서술적 조사연구를 통해 전화상담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 대상
2006년 1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외래를 방문 후 지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파킨슨병 환자 중 자발적인 전화상담에 참여한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파킨슨병의 진단은 UK Parkinson’s Disease Society Brain Bank의 임상적 진단 기준에 근거하였으며,14 혈관성(vascular) 또는 약물로 인한(drug-induced) 이차적 파킨슨증후군과 비특이성 파킨슨증후군(atypical parkinsonism)으로 진단된 모든 환자를 제외하였다. 환자가 전화상담에서 호소하는 증상 감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2. 방법

1) 환자 및 가족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환자의 연령, 성별, 학력, 직업, 결혼, 동거가족, 거주지역과 환자와 전화상담 의뢰자의 동거 유무 등을 설문지 및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2) 환자의 일반적 및 임상적 특성

자발적 전화상담을 한 환자의 연령, 성별, 파킨슨병 발병 연령, 유병 기간, modified Hoehn and Yahr 단계, Schwab과 England의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점수를 병력기록지와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3) 전화상담 내용의 분류

본인의 생명, 건강,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이 스스로 수행하는 활동을 자기관리행위로 정의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개발된 자기간호행위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파킨슨병 질환의 전화상담 내용 항목을 분류하였다.15,16 각 항목은 파킨슨병 증상, 일상생활(식사, 안전, 배변, 수면), 약물 부작용, 약물 복용방법, 대체요법, 파킨슨병 관련 지식,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고 내용의 타당성을 위해 3명의 의료진이 상담내용을 검토하였다.

4) 통계 및 분석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SPSS 11.5를 이용하였고, 환자 및 가족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전화상담 내용의 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또한 파킨슨병의 질병 관련 특성과 전화상담 내용의 관계는 t-검정(t-test)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1.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 및 임상적 특성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총 243명으로 남자는 73명, 여자는 17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64.9±9.92세였다. 파킨슨병의 평균 발병 연령은 59.5±10.84세, 평균 유병 기간은 5.6±4.3 년이었고, median modified Hoehn and Yahr 단계는 2단계였다(Table 1).
2. 전화상담 내용 분석 및 의뢰자의 특성
총 243명의 환자의 상담전화 내용 분석에서, 항파킨슨병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 81명(24.4%), 파킨슨병의 운동증상 악화 61명(18.7%), 동반된 다른 질환(comorbidity)과 관련된 문의 59명(17.8%), 약물 복용방법 및 설명에 대한 문의 45명 (13.6%), 일상생활(식사, 배변, 수면, 안전)에 대한 문의 42명 (12.6%), 건강보조식품 및 대체요법 13명(3.9%), 파킨슨병 관련 지식 문의 10명 (3.0%), 기타 20명(6.0%)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상담을 의뢰한 사람은 환자 본인이 92명(37.9%)으로 가장 많고, 자녀 88명(36.2%), 배우자 43명(17.7%), 기타 관계자 18명(7.4%), 부모 2명(0.8%) 순이었으며,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 94명(64.4%), 함께 거주하지 않는 경우가 52명(35.6%)이었다(Table 3).
3.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전화상담 분석
전화상담 내용은 modified Hoehn and Yahr 1-3 단계의 환자에서는 항파킨슨병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문의가 많은 반면, 4, 5단계의 환자에서는 파킨슨병의 운동증상 악화에 대한 상담이 많았다(p<0.05).
전화상담 의뢰자는 증상이 경미한 modified Hoehn and Yahr 1, 2단계의 환자에서는 대부분 환자 본인임에 반해, 3-5 단계 환자에서는 자녀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5단계 환자에서는 상담의뢰자가 100% 자녀였다(p<0.001). 파킨슨병의 modified Hoehn and Yahr 단계에 따른 상담의뢰자의 관계에서 modified Hoehn and Yahr 단계가 높을수록 본인보다는 가족들이 상담을 많이 의뢰하였다(p<0.001)(Table 4). Modified Hoehn and Yahr 1, 2단계의 환자는 배우자 및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고, 3, 4단계 환자는 배우자와만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5단계 환자는 80%가 배우자와 사별하여 자녀와 거주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화상담 분석
남자 환자의 경우 파킨슨병 운동증상의 악화, 약물 복용방법 및 설명에 대한 문의가 많은 반면, 여자 환자는 파킨슨병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상담이 많았다(p<0.05).
남녀별 직업유무는 남자 환자는 무직 52.8%, 유직 47.3%이며, 여자 환자는 무직 86.9%, 유직 13.1%이었고, 직업의 종류별로는 남자는 상업 및 서비스업, 여자는 농업에 많이 종사하고 있었다. 교육 정도는 남자는 중학교 이상 대학교 졸업이 73.3%로 높은 반면, 여자는 무학 또는 초등학교가 56.9%를 차지하였다(p<0.001). 남자 환자가 여자 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고, 교육수준이 더 높았으며 나타났으며, 남자 환자에서 상담의뢰자는 환자 본인과 가족(자녀 및 배우자 등)이 각각 49.3%, 50.7%로 비슷한 비율로 상담을 의뢰한 반면, 여자 환자에서는 가족(자녀 및 배우자 등)이 67.1%의 주된 상담의뢰자였다(p<0.001).
5. 상담의뢰자에 따른 전화상담 분석
전화상담 의뢰자가 환자 본인인 경우의 전화상담 내용은 파킨슨병 약물 복용방법 및 설명(23.4%), 파킨슨병 운동증상의 악화에 대한 문의(20.8%) 순이며, 자녀인 경우의 전화상담 내용은 파킨슨병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33.7%), 파킨슨병 운동증상의 악화(13.3%) 순이었다. 배우자가 상담을 의뢰한 경우는 동반된 다른 질환과 관련된 문의(30.2%), 파킨슨병 운동증상의 악화(23.3%) 순이었으며, 기타 관계자가 상담을 문의한 경우는 파킨슨병 운동증상의 악화(37.5%), 파킨슨병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31.3%) 순이었다.
또한, 환자의 교육 정도에 따라 상담의뢰자가 차이를 나타내었다. 환자가 무학인 경우, 환자 본인이 상담을 의뢰한 경우는 16.7%, 가족이 의뢰한 경우는 83.3%임에 반해, 환자가 대졸 이상인 경우 본인이 상담을 의뢰한 경우 53.3%, 가족이 의뢰한 경우 46.5%로 나타났다(p<0.001).
본 연구는 파킨슨병 환자에서 비약물 치료의 일환으로 사용된 전화상담의 역할을 분석한 최초의 보고이다. 전화상담은 만성질환을 지닌 환자와 가족이 환자의 증상의 변화, 합병증, 약물 투여 등에 대한 문의를 의료진과의 직접적인 진료 없이 전화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므로 지속적인 교육과 상담이 필요한 만성질환을 지닌 환자에서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정방문이나 환자의 외래방문으로 인한 비용과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만성 퇴행성 뇌 질환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기본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17-19
본 연구에서 의뢰된 전화상담 내용은 항파킨슨병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 파킨슨병의 운동증상 악화, 동반된 다른 질환과 관련된 문의, 약물 복용방법 및 설명, 일상생활(식사, 배변, 수면, 안전)에 대한문의, 건강보조식품 및 대체요법, 파킨슨병 관련 지식 순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이전에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외래 및 퇴원 환아 부모의 전화상담 내용 분석에서 ‘신체적 증상 및 징후와 관련된 문제’가 주된 의뢰 내용이었던 것과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파킨슨병의 특징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10
Modified Hoehn and Yahr 1, 2단계 환자에서 전화상담 의뢰자는 주로 환자 본인이었고, 3-5단계의 환자에서 전화상담 의뢰자는 자녀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파킨슨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이 modified Hoehn and Yahr 단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고 보고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20
전화상담 내용은 modified Hoehn and Yahr 1-3단계의 환자에서는 항파킨슨병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문의가 많은 반면, 4, 5단계의 환자에서는 파킨슨병의 운동증상 악화에 대한 상담이 많았다(p<0.05). 이는 파킨슨병이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만성 퇴행성 뇌 질환이며, 증상이 진행함에 따라 약물의 용량과 종류가 늘어나고 이에 따른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 많은 질환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6
Modified Hoehn and Yahr 단계에 따라 전화상담 내용에 차이를 고려한다면, 향후 파킨슨병 환자를 치료할 때 modified Hoehn and Yahr 1-3단계 환자에서 의료진이 파킨슨병 환자 및 가족에게 보다 중요시해야 할 교육으로, 항파킨슨병 약물에서 가능한 부작용에 대한 설명과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 환자나 보호자가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또한, modified Hoehn and Yahr 4, 5단계의 환자에서는 가족이 환자를 돌보면서 겪게 되는 파킨슨병 운동증상의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증상의 악화에 따라 상황에 맞게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의료진과 상의해 나가야 할 것이다.
Modified Hoehn and Yahr 1, 2단계의 환자에서 전화상담 의뢰자는 대부분 환자 본인임에 반해, 3-5단계 환자에서는 자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5단계 환자에서는 상담의뢰자가 100% 자녀였다. 따라서 증상이 경미한 modified Hoehn and Yahr 1, 2단계의 환자는 질환관리에 대해 스스로 적극적이므로, 환자 본인이 파킨슨병의 치료 과정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직접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modified Hoehn and Yahr 3-5단계 환자에서는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을 포함시킨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여자 환자는 전화상담 의뢰자가 대부분 가족이었고, 남자 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학력이며 무직인 경우가 더 많고, 직업에 있어서도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개인적, 사회적 특성에 비추어 여자 환자의 교육에서는 환자 및가족교육을 통해 파킨슨병의 치료 과정을 전반적으로 가족이 함께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전화상담은 적은 인력과 비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지속적인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증상의 변화가 심하고 고통스러운 진행성 파킨슨병 환자에게 있어 전화상담 프로그램은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전화상담을 시행한 환자의 추후 상태에 대해 전화상담 전후의 비교분석 연구, 상담의뢰자의 치료지시 이행 여부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전화상담에 대한 좀 더 큰 규모의 연구와 함께 전화상담의 비용-효과 측면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효과적인 전화상담 서비스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243)
Characteristics Frequency
Male/Female (n) 73/170
Mean age±SD (years) 64.9±9.92
Mean age at onset±SD (years) 59.5±10.84
Mean PD duration (years) 5.6±4.30
Median Hoehn and Yahr stage 2

SD; standard deviation, PD; Parkinson’s disease.

Table 2.
The contents of the telephone counseling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243)
Characteristics Frequency (%)
Adverse effect of medication 81 (24.4%)
Aggravation of motor symptoms 61 (18.7%)
Problems due to comorbidities 59 (17.8%)
How to take medicine 45 (13.6%)
Activities of daily living 18 (12.6%)
Complementary or alternative medicines 13 (3.94%)
Knowledge about PD 10 (3.0%)
Others 20 (6.0%)

PD; Parkinson’s disease.

Table 3.
Persons who used the telephone counseling (n=243)
Characteristics Frequency (%)
Patient himself 92 (37.9%)
Offspring 88 (36.2%)
Spouse 43 (17.7%)
Other relatives 18 (7.4%)
Parent 2 (0.8%)
Table 4.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ccording to modified Hoehn and Yahr stage
modified Hoehn and Yahr stage

Total 1 2 3 4 5 p value
No. patient (n) 243 53 137 17 11 5
Age±SD (years) 64.9±9.9 60.1±11.4 63.9±9.1 68.8±7.3 72.8±8.4 74.6±3.3 0.001
Gender (M / F) 73 / 170 18 / 35 44 / 93 9 / 8 2 / 9 0 / 5 0.076
Onset age±SD (years) 59.5±10.8 58.1±12.6 58.5±9.5 62.5±9.9 64.6±10.1 64.6±6.7 0.020
Duration (years) 5.6±4.3 3.8±3.6 5.4±3.9 6.3±4.8 8.9±4.3 9.4±5.9 0.351
Major person of TC patient patient offspring offspring offspring <0.001

SD; standard deviation, TC; telephone counseling.

  • 1. Henry LP, Matthew BS. Clinical manifestations of Parkinson’s disease. In: Ray LW, William CK, editors. Movement Disorders. 2nd ed. USA: McGraw-Hill Co; 2004:233–245.
  • 2. Shulman LM, Taback RL, Bean J, Weiner WJ. Comorbidity of the nonmotor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001;16:507–510.ArticlePubMed
  • 3. Ahlskog JE, Muenter MD. Frequency of levodopa-related dyskinesias and motor fluctuations as estimated from the cumulative literature. Mov Disord 2001;16:448–458.ArticlePubMed
  • 4. Fox SH, Henry B, Hill MP, Peggs D, Crossman AR, Brotchie JM.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peak-dose dyskinesia induced by levodopa and apomorphine are distinct: evidence from the effects of the alpha(2) adrenoreceptor antagonist idazoxan. Mov Disord 2001;16:642–650.ArticlePubMed
  • 5. Hillen ME, Sage JI. Nonmotor fluctuation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eurology 1996;47:1180–1183.ArticlePubMed
  • 6. Im JH, Kang JH, Lee MC.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J Korean Neurol Assoc 2001;19:315–336.Article
  • 7. Jeon HS. The effects of telephone coaching frequency on self-care and metabolism in DM patients. Master thesis. seoul: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1997.
  • 8. Nelson WB. Communications: distributing oncology outpatient telephone calls. Nurs Manage 1991;22:40–44.Article
  • 9. Chen CH. Effects of home visits and telephone contacts on breastfeeding compliance in Taiwan. Matern Child Nurs J 1993;21:82–90.PubMed
  • 10. Han KJ, Choe MA, Kang HJ, Park SH, Kim YM, Kim SG, et al. Content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and telephone calls to the pediatric nursing unit. J Korean Acad Nurs 1996;26:515–530.Article
  • 11. Kang KH, Lee IS. An evaluation study of 1339 and 119 emergency medical dispatch protocols. J Korea Acad Nurs 2001;31:538–547.Article
  • 12. Kim CG, Chung CH.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on self efficacy and self care in NIDDM patients. J Adult Acad Nurs 2002;14:306–314.
  • 13. Pasquarello MA. Measuring the impact of an acute stroke program on patient outcomes. J Neurosci Nurs 1990;22:76–82.ArticlePubMed
  • 14. Hughes AJ, Daniel SE, Kilford L, Lees AJ. Accuracy of clinical diagnosis of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100 case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2;55:181–184.ArticlePubMedPMC
  • 15. Kim YO. A Hypothesized Model for Self-Care Behavior in Diabetic Patients. Seoul: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1996.
  • 16. Orem DE. Nursing: concepts of practice. 3rd ed. New York: McGraw-Hill Co; 1985.
  • 17. Anastasia PJ, Blevins MC. Outpatient chemotherapy: telephone triage for symptom management. Oncol Nurs Forum 1997;24 Suppl 1:13–22.
  • 18. Song EK. Effect of self-management telephone monitor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aster thesis. Seoul: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2003.
  • 19. Tripp SL. What to ask and what to do when parents call about children’s illnesses. Nursing 1974;4:73–79.ArticlePubMed
  • 20. Kim SR, Chung SJ, Im JH, Lee MC. The caregivers’ burden in Parkinson’s disease. J Korean Neurol Assoc 2005;23:335–340.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Comments on this article

      Add a comment
      Related articles

      JMD : Journal of Movement Disorders